청년-도약-계좌

이번 정부에서 청년들을 위해 약속한 것들 중에서 가장 유명한 건 아무래도 청년 도약 계좌라고 생각합니다. 이 상품은 문재인 정부의 청년 히망 적금과 비교되면서 매우 유명해졌는데요. 그렇다면 청년 도약 계좌는 어떤 상품인지, 그리고 누가 가입할 수 있는지 가입 조건, 청년 도약 계좌의 특징, 그리고 신청하는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

청년 도약 계좌는 만 19~34세의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최대 월 70만 원을 5년 간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 원의 목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처음 이야기가 나왔을 때는 10년 1억 원이었는데, 정권의 기간보다도 길기도 하고, 현실성이 없다는 이유로 금액과 기간이 반토막 난 것 같습니다. 참고로, 70 * 12 * 5 = 4,200이므로, 5년 간 총 800만 원의 이자가 붙는 셈입니다. 


가입 조건

청년 도약 계좌는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가입 당시의 연령이 만 19 ~ 34세의 청년입니다. 즉, 2023년 기준으로 1989년부터 2004년에 태어나신 분들이 가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연령만 충족한다고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개인 소득이 연 6,000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여야 합니다. 1인 가구 기준으로는 374만 원, 2인 가구 622만 1,079 원, 3인 가구 798만 2,668 원, 4인 가구 972만 1,735 원 이하여야 합니다.


소득 조건이 꽤 널널한 편이고, 공무원 역시 가입이 가능하다고 하니, 국내에서 알아주는 대기업 재직자, 전문직, 고소득 사업가가 아니면 거의 다 가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소득이 아예 없는 취준생, 대학생은 가입할 수 없습니다.


특징

청년 도약 계좌는 여러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1. 청년 도약 계좌는 문재인 정부에서 시행했던 청년 희망 적금과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2. 소득에 따라 월 40만 원  ~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합니다.
  3. 정부가  3~ 6% 정도의 지원금을 지급해줍니다.
  4. 주식형, 예금형, 채권형으로 다양한 형태의 운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5. 은행 이자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6.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비과세 혜택에 대해서 조금 상세하게 설명 드리자면 연 6,0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가입하는 경우 최대 6%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가입하는 경우에는 이자 또는 배당 소득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

마치며

청년 도약 계좌는 5년이라는 기간 동안 목돈이 묶이는 상품입니다. 또한, 꾸준히 납부할 수 있는 상황인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긴 시간 동안 납입해야 하는 만큼 무리해서 큰 금액을 집어넣는 것보다는 만기까지 넣을 수 있는 금액을 넣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