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해서 사람들은 "안정적이다"와 "은퇴 후 연금 많이 받는다"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공무원이라는 직업은 어지간한 사고를 치지 않으면 해고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적이라는 말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공무원들은 국민연금이 아닌 공무원연금공단이 운영하는 공무원 연금에 가입하고, 공무원연금은 국민연금보다 수령액이 많기 때문에 연금을 많이 받는 것도 맞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공무원들이 연금을 수령하기 위한 조건과 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 연금 수령 조건

공무원 연금은 재직기간이 10년 이상이면서 현재 공무원으로 퇴직했을 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개시 연령은 출생 연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2023년은 61세, 24~26년은 62세, 27~29년은 63세, 30~32년은 64세, 33년 이후로는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공무원 연금 수령액

공무원 연금 수령액을 확인하는 방법은 총 3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계산기 사용 방법, 두 번째는 인터넷에서 수령액 조회 방법, 세 번째는 고객센터에 문의하는 방법입니다.


계산기 사용방법

공무원 연금은 계산 방법이 복잡해 문의하지 않고 알아보려면 계산기 사이트를 이용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1. 연금 모의 계산 홈페이지 접속(바로가기)
  2. 연금항목 추가 - 공무원 연금공단
  3. 생년월일, 시작년월, 종료년월, 기간, 월소득 금액 입력(공무원 연금, 국민연금 둘 다 입력)
  4.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

수령액 조회 방법

수령액을 조회하시려면 인터넷에서는 공무원연금공단 연금 복지 포털(바로가기)에 접속하신 후에 로그인합니다. 이후 내 연금 보기를 눌러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문의 방법

공무원 연금 공단 고객센터인 1588-4321로 전화하셔서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단, 공무원연금공단은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부터 18시까지만 운영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공무원 연금을 보면 공무원이라는 직업의 장단점은 명확한 것 같습니다. 노후 걱정은 없지만, 젊은 시절에는 사기업에 비해 소득이 낮으며, 연금 보험료도 국민연금보다 2배 정도가 된다고 하니 말입니다. 그런데도 공무원 연금 개혁도 논의되고 있는데, 어떻게 진행될지는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