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의 개념, 원인, 영향, 대처 방안
지금 시기는 누가 뭐라고 해도 인플레이션이 심한 시기입니다. 최근 집 근처 가게들을 봐도 1년 전과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비싸졌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인플레이션의 개념과 원인, 영향, 대처 방안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의 개념과 원인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수요 측면과 공급 측면에서의 원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먼저, 수요 측면에서의 원인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수요 측면에서의 원인은 수요가 증가하면서 공급보다 더 많은 수량의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향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쉬운 예시를 들자면, 한동안 포켓몬빵을 원하는 사람들은 매우 많은데, 개수는 한정되어 있어서 당근마켓에서 웃돈을 주고 구매하는 사람들이 생긴 적이 있습니다. 이 현상은 수요자는 많은데, 공급이 부족했기 때문에 생긴 현상입니다.
반대로 공급 측면에서의 원인도 있습니다. 공급 측면에서의 원인은 생산성의 저하나 제조원가 상승 등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예시를 들자면, 기후변화, 전쟁 등의 이유로 우크라이나 등에서 생산되는 밀이 생산량이 줄어들어 밀의 가격이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
인플레이션은 개인은 물론이고, 기업과 국가 경제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개인과 기업은 물가 상승으로 인해서 구매력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소비 활동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소비 활동이 줄어들면 생산 활동도 자연스레 감소할 수 있습니다.
국가의 입장에서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가격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경제 성장률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대처 방안
대처 방안으로는 통화 정책, 재정 정책, 수급 조절 등이 있습니다.
이번 인플레이션에서는 FED, 한국은행 등 각국의 중앙은행에서는 금리 인상을 통해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돈의 가치를 높이고, 돈의 공급을 축소해 인플레이션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즉, 상품의 가치보다 돈의 가치를 더 높여서 인플레이션을 잡는다는 의미입니다.
재정 정책에서는 예산 삭감, 세금 인상 등을 통해서 경제 활동을 억제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대처합니다.
수급 조절에서는 공급 조절 등으로 대응합니다. SK 하이닉스같은 대기업조차 메모리 반도체 재고가 많아 감산을 통해 공급을 조절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마치며
인플레이션은 국가, 기업 뿐 아니라 개인에게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개인 차원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고민해보아야 합니다.